늘 행복이 가득한 시간 되세요. 오늘은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라면 월 20만원씩 최장 10개월 동안 최대 200만원을 지원받는 서울 청년 지원 사업 신청 자격 대상 및 신청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텐데요. 혹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신청 자격이 된다면 신청방법 및 신청서류 참고하셔서 혜택 받아보셨으면 좋겠어요.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은 높은 주거비로 고통 완화 및 받고 있으며 독립생활 출발선에 선 청년 1인가구의 주거안정을 지원하는 사업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청년들이 직접 제안하고 서울시 청년자율예산제를 통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라고 합니다. 올해 총 5000명을 선정해 월세 20만원을 최장 10개월간 지원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신청 자격에 대해 알아보면 기준중위소득 120%(건강보험료 부과액 기준) 이하의 만 19세~39세 청년이 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올해 1인가구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 7만702원 지역가입자는 2만9273원이죠. 따라서 이 구간에 해당한다면 지원자격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 선정인원 5000명 가운데 1000명은 코로나 사태로 실직했거나 소득이 25% 이상 감소한 청년으로 배정됐다고 합니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청년은 3개월 이상 연속 소득자 중 코로나19 심각단계 격상(2.23.) 이후부터 공고일(6.16.) 기간 내 5일 이상 실직, 무급휴직 또는 1개월 수입이 25% 이상 감소한 사실이 있는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고 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신청방법은 6월 16일부터 29일까지 서울주거포털(http://housing.seoul.go.kr)에서 '서울 청년월세지원'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후 7월 중 소득재산 의뢰 및 조사를 거쳐 8월에 지원대상자를 발표합니다. 9월부터 서울 청년월세 지원금 지급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서울 청년 월세 지원 및 신청 코로나19 피해청년(1000명), 일반청년(4000명) 2개 분야로 나눠 진행되는데요. 지원대상자는 각 분야별로 임차보증금과 차량시가표준액을 합산한 금액이 낮은 순으로 선발된다고 해요. 신청자가 지원인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된 순위에서 무작위 추첨방식으로 선정되죠.
단 주택 소유자나 분양권, 조합원 입주권 보유자, 일반재산 총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차량시가표준액 2500만원 이상의 자동차 소유자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되구요. 국민기초생활수급자(교육급여는 신청 가능)나 공공주거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도 신청할 수 없다고 해요. 다만 교육급여 수급자는 신청할 수 있다고 해요.
서울시 청년월세 신청 기간은 6월 16일부터 29일까지라고 합니다.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신청접수 첫날이다보니 많은 분들이 접속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홈페이지가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내일이나 조금 지난 다음 접속하시면 이용하시기가 훨씬 수월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 사업은 한 명이 한 차례만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청년 월세 지원 신청과 선정결과 확인, 급여 청구는 서울주거포털 내 청년월세지원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울 청년 월세 지원과 관련한 세부 지원기준과 제출서류 등은 아래 청년월세 지원 사업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서울 청년월세지원 사업 개요 및 내용
◈ 지원대상: 공고일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19세~3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가 대상이 됩니다.
◈ 지원내용: 월 20만 원 임대료 지원(최대 10개월·200만 원 지원합니다. 단, 생애 1회 지원입니다.
참고로 자세한 문의는 '1대1 상담' 이용 또는 전화 다산콜센터(120), 청년월세지원상담센터(02-2133-1337~9), 주택정책과(02-2133-7702 ~7706)로 연락하면 된다고 합니다. 이상은 6월 16일부터 29일까지 신청을 받으며 월세 20만원을 최장 10개월간 지원을 받는 서울 청년월세 지원 신청 사업 및 자격대상, 신청방법에 대한 간단 정보였습니다. 참고하셨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