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천은사 통행료 폐지된다고 해요!

 

 

늘 행복이 가득한 시간 되세요. 오늘은 동안 논란과 갈등을 빚어왔던 지리산 천은사 통행료가 30여년만에 폐지되었다는 소식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할께요.

 

 

천은사는 1987년부터 ‘문화재보호법’ 상 문화재관람료를 국립공원 입장료와 함께 징수해왔다고 합니다. 그러다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이후, 통행료 징수에 대한 논란이 일기 시작했는데요. 매표소가 위치한 지방도 861호선은 지리산 노고단을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나가야하는 길이기 때문에 이런 이유로 천은사를 방문하지 않는 탐방객에겐 통행세를 징수하지 말아달라는 민원이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천은사는 이를 단순한 통행세로 볼 것이 아니라 사찰측이 소유한 토지에 위치한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자연환경과 문화재의 체계적인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관람객이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팽팽하게 맞선 바 있었죠.

 

 

이처럼 논란과 함께 첨예하게 대립 갈등 양상을 빚었던 지리산 천은사 통행료가 30여년만에 폐지되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지난 29일 천은사에서 전라남도, 환경부, 문화재청, 천은사 등 8개 관계기관과 천은사 '공원문화유산지구 입장료' 폐지 업무협약을 체결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천은사 통행료 폐지 등을 담은 업무협약에 따라 천은사는 입장료를 폐지하고, 지방도 861호선의 사찰 입구에 위치한 매표소를 즉시 철거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번 협약에 따라 8개 관계기관은 천은사 인근 지리산 국립공원 내 탐방 기반시설 향상을 지원하는데 상호 협력하기로 약속했으며 또 협약식 이후에도 정례적인 정책협의회를 개최하여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이어가고, 탐방 기반시설 개선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을 밝혔다고 합니다.

 

 

지리산 탐방객의 30년 숙원인 천은사 입장료 폐지는 지난해 10월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천은사 주지인 종효스님이 직접 만난데 이어 관계기관들과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이뤄졌는데요. 지리산 천은사 통행료 폐지 소식이 탐방객 불편을 해소하면서 지역사회가 공생하는 '상생모델'로 평가받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번 천은사 통행료 폐지가 다른 국립공원 내 문화재 관람료 논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지리산 천은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면..

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의 말사라고 합니다. 화엄사·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 중 하나죠. 828년(흥덕왕 3) 인도 승려 덕운(德雲)이 창건하였으며, 앞뜰에 있는 샘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진다고 하여 감로사(甘露寺)라 하였다고 합니다.

 

 

그 뒤 875년(헌강왕 1)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중건하였고, 고려 충렬왕 때에는 남방제일선찰(南方第一禪刹)로 승격되었다가 임진왜란의 전화로 완전히 불타버렸으나, 1610년(광해군 2)에 혜정(惠淨)이 중창하였고, 1679년(숙종 5)에 단유(袒裕)가 중건하여 천은사라 하였다고 합니다. 중건 당시 감로사의 샘가에는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났으므로 한 승려가 이를 잡아 죽였더니 그 뒤로부터는 샘이 솟아나지 않았고, 샘이 숨었다 해서 천은사로 개명하였다 합니다.

 

 

절 이름을 바꾼 뒤 이상하게도 이 사찰에는 원인 모를 화재가 자주 일어나서 절에 큰 걱정거리가 되었지만, 재화가 끊이지 않자 주민들은 절의 수기(水氣)를 지켜 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고 합니다. 그 때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이광사(李匡師)가 수체(水體)로 물 흐르듯 ‘智異山泉隱寺’라는 글씨를 써서 수기를 불어 넣은 현판을 일주문에 걸게 한 뒤로는 다시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다음백과 참조 - 

 

이상은 30여년동안 갈등을 빚어왔던 지리산 천은사 통행료 폐지 소식에 대한 정보였습니다. 

 

늘 건강하고 행복한 시간 보내세요.